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퇴직연금 DB형 vs DC형
    퇴직연금 DB형 vs DC형

     

    퇴직연금 의무화가 본격적으로 다가오면서, 이제는 퇴직금 일시수령이 아닌 '연금화'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특히 사업장 규모에 따라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퇴직연금 전환이 시작되면서, DB형과 DC형 중 어떤 제도를 선택할지에 대한 고민도 많아지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퇴직연금 DB형 vs DC형의 차이점, 선택 시 고려해야 할 기준, 그리고 근로자/회사 각각의 유불리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DB형(확정급여형)이란?

     

    DB형 퇴직연금은 퇴직 시 받을 연금액이 사전에 정해져 있는 방식입니다.

    보통 퇴직 직전 3개월간 평균임금 × 근속연수로 산정되며, 연금 운용과 수익률 관리 책임은 회사가 집니다.

     

    DB형의 특징

    - 퇴직급여 산정 방식 고정

    - 운용 책임 : 회사

    - 근속연수가 길고 임금 상승이 크면 유리

    - 운용수익에 대한 관심이 적어도 안정적

    퇴직연금 DB형 vs DC형퇴직연금 DB형 vs DC형퇴직연금 DB형 vs DC형
    퇴직연금 DB형 vs DC형

    DC형(확정기여형)이란?

     

    DC형 퇴직연금은 매월 회사가 근로자의 퇴직연금 계좌에 일정 금액을 입금해 주고, 그 자금을 근로자가 직접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DC형의 특징

    - 회사가 정해진 금액만 납입

    - 운용 책임 : 근로자 본인

    - 운용 수익에 따라 퇴직금이 달라짐

    - 재테크에 관심 있고, 투자 지식이 있다면 유리

     

    ✅ 퇴직연금 DB형 vs DC형 비교표

    구분 DB형 (확정급여형) DC형 (확정기여형)
    퇴직금 산정 방식 평균임금 × 근속연수 매월 정해진 금액 적립
    운용 주체 회사 근로자 본인
    운용 수익 반영 여부 반영 안 됨 (정해진 금액) 직접 운용 수익률에 따라 변동
    장점 안정적인 수령, 예측 가능 높은 수익 가능성, 유연한 자산 운용
    단점 운용 수익이 낮아도 본인 몫 아님 운용 실패 시 손실 위험
    추천 대상 금융에 익숙하지 않고 안정성 중시 재테크에 관심 많고 장기 수익 추구

     

    어떤 경우에 DB형이 유리할까?

    - 연차가 길고, 앞으로도 안정적 근무가 예상되는 경우

    - 투자나 금융에 관심이 적은 경우

    - 기업이 안정적이라 퇴직 시까지 운용 리스크가 낮은 경우

     

    어떤 경우에 DC형이 유리할까?

    - 투자에 관심 있고, TDF나 ETF 등으로 운용할 자신이 있는 경우

    - 임금 상승 여력이 낮은 경우

    - 중도에 자산을 유연하게 운용하고 싶은 경우

    퇴직연금 DB형 vs DC형퇴직연금 DB형 vs DC형퇴직연금 DB형 vs DC형
    퇴직연금 DB형 vs DC형

    퇴직연금 선택 시 유의사항

    1. 회사와 협의하여 변경 가능 여부 확인

    2. 변경은 원칙적으로 1년에 1번만 가능

    3. IRP 통합 계좌 관리 고려 시 DC형이 유리할 수 있음

    4. 세제혜택도 DC형/IRP가 폭넓음

     

    결론 : 내 성향에 따라 신중히 선택하세요

     

    퇴직연금의 의무화 시대, 이제는 회사가 퇴직금을 관리해주던 시대에서 내가 직접 은퇴 자산을 굴리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금융에 익숙하지 않다면 DB형이 더 나을 수 있고, 연금도 복리 수익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투자할 줄 안다면 DC형이 더 큰 자산을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두 제도의 차이를 충분히 이해하고, 나에게 맞는 방식으로 노후 자산을 설계해 보세요.

    반응형